장기투자 바이블: Stocks for the long run

Book 2010. 2. 11. 00:54


CFA 준비로 열심히는 보지 못하던 책 - 장기투자 바이블Stocks for the long run입니다. 미국 워튼Wharton스쿨 교수인 제러미 시겔Jeremy J. Siegel 의 책이지요. (어디서 많이 보던 이름입니다. -_-) 사실 읽은지도 약간 되었는데, 정신없이 바쁘게 지내다 오늘은 한번 여유를 부리고 싶어 정리해 봅니다.

 전반적인 내용은 주식 투자에 대한 글이지만, 그러한 결론에 다다르기 까지 채권, 수익과 리스크를 고려한 포트폴리오, 경제 및 경기 사이클, Valuation, 글로벌 시장 등 경제전반에 이르는 폭넓은 주제도 다루고 ETF, 시장 변동성, 기술적 분석 및 행동 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에 이르기 까지 실질적 내용도 다양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1. 연간 GDP 성장률 vs. 주식 시장 장기 수익률

... 그러나 주식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주당 이익과 배당이다. 경제 성장이 총 이익과 배당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주당 이익과 배당금 성장률을 필연적으로 높이지는 않는다. 이는 경제가 성장하려면 자본 지출이 늘어야 하는데 이 자본이 공짜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기술을 활용하고 개발하는 데는 상당한 투자가 필요하다...


Financing cost & accessibility to capital, 즉 조달 비용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여기서 조달 비용은 반드시 금전적 비용만 일컫는 것은 아니고, 법률/정치 시스템 및 사람들의 성장에 대한 확신과 기업가 정신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는 부분일 것입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그래프에서 보듯이, 연간 GDP 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주식 시장의 장기 수익률이 오히려 떨어 지더라는 것입니다. 물론 시점이 모두 제각각이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 필요도 있겠지만 GDP 성장률과 주식 시장 수익률이 비례할 것이라는 직관과 위배되는 것은 일단 명백해 보이는 군요..

 2. 연방 기금 금리와 주식 수익률

...  그러나 이렇게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전략은 1950년대 부터 1990년대까지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2000년 이후로 연방 기금 금리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와는 정반대의 결과로 나타났다. 금리가 인하될 때 주식 수익률은 부진했고, 금리가 인상될 때 주식 수익률은 오히려 양호했다....

 금리와 주식 수익률과의 관계입니다. 직관에 따르면, 금리가 오르면 주식 수익률이 떨어지고, 금리가 떨어지면 주식 수익률이 올라가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이러한 직관은 2000년대 이후로 맞아들어가지 않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과거 금리와 주가의 관계를 오랜 기간 보아온 투자자들의 학습효과 때문이겠지요. 금리는 (주가 보다는) 경제 상황에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미리미리 예상을 할 수 있습니다. 신문에서도 떠든다면 모든 사람이 금리 인상 시점을 대략은 알 수 있다는 것이지요.(한달후 주가가 어떻게 될지 예상하기는 정말 쉽지 않지만, 한달후 금리는 적당한 오차범위 내에서 거의 확실히 예상할 수 있지요) 이러한 예상은 바로 주식 시장에 반영되면서 과거보다 금리의 영향이 적어지고 (있거나 오히려 반대의 영향을 주고 있는) 있는 것이지요.


근간에 2000년 이후로 간략히 조사해본 우리나라 금리와도 유사한 시각입니다. 콜금리와 주가를 보면 1개월~12개월 lagging data(금리 leader vs. 주가 follower)를 보더라도 상관관계correlation가 -0.05~0.02 정도로 아주 약한 관련성을 보입니다. 즉, 금리의 변동 자체가 주가에 크게 영향을 준다고 보기에는 좀 약하다는 것이지요. 아래에서 보다시피 금리가 주가의 Leading 지표라기에는 조금 어려워보입니다.



한 두가지 더 중요한 시사점implication이 더 있었지만 정신없이 지내다 보니 잘 생각이 안나는 군요. -_-; 하지만 책을 덮고서 꽤나 만족스러운 기분이 들었던 책임은 분명합니다. 투자와 관련해서 가장 좋아하던 책중의 하나가 3개의 질문으로 주식시장을 이기다 인데, 그보다 더 다양한 투자 수단을 다루고 있고, 그보다 더 다양한 분석들에 근거하고 있어요. (물론 3개의 질문은 이러한 분석의 근거보다는 말하고자 하는 3가지 원론적인 이야기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기 때문이기는 합니다) 누구나 말로는 장기투자를 이야기 하지만, 이 책을 읽는 다면 더욱더 편안한 마음으로 장기 투자자로서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책 제목이 그러하듯이..)

한가지 더, 책을 보면서 그리고 근간에 관심있게 보는 이웃 블로그들을 보면서 기술적 분석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애초에 직장인(이어서 단기 투자에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 및 CFA 준비를 하면서 더욱 확신하게 된 - 내재가치Intrinsic value에 대한 생각이 커서 일지도, 아니면 단기적 시각으로 접근하면서 주식 투자에 실패하는 개인들을 많이 보아서 일지도 모르지만, 기술적 분석에 대해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을 했었지요(오히려 약간은 무시하는 태도였는지도 몰라요 >.<) 하지만, 단기적(1년정도 미만) 시각에서 수급(매수/매도)은 주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자금/주식의 수급을 가장 적절히 잘 알수 있는 분석이 바로 기술적 분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장기적으로 볼때 분명히 명분이 약한 지표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년간 몇% 차이는 만들 수 있는 지표라 생각이 되네요. 언젠가 시간이 좀 지나면 기술적 분석에 대해서도 약간 더 공부하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주식 시장에 회의적인 생각이 드는 개인투자자, 글로벌 투자의 큰 그림이 궁금한 투자자, 그리고 단타의 유혹을 떨쳐버리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꽤나 도움이 될 법한 책입니다. 번역은 미래에셋 자산운용컨설팅본부에서 했다지요. (미래에셋 주가가 완전 실망스럽지만 회복은 하리라 생각합니다. 흑흑) 아, 올해 초에 가졌던 주식시장에 대한 시각에 큰 변화는 없지만, 회복에 약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는 생각합니다~ 어차피 일이 바빠진 마당이라 그다지 많이 속이 쓰리진 않네요.ㅋㅋ (이거원 불행인지 다행인지... -_-)

Crazy busy days... again in 2010

Management: smart 2010. 1. 25. 01:27

1. IPO/M&A
회사 내부 상황은 많이 달라졌지만, 2년전과 비슷한 일들을 다시 추진합니다. 성공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꽤 높아져서 조금 더 정신없이 한동안 지내게 될 듯 합니다. 올해 목표로 하는 중요한 두 가지 프로젝트 입니다: 1건의 IPO와 1건의 M&A. 두 가지가 별도의 건으로 진행되는 데다가 1건의 Main Leader로 진행하게되어 더 바쁘게 지내게 될 예정이네요. CFA 마지막 3차 시험도 6월이라 꽤나 부담되는 일정입니다. 올해 상반기, 여러가지 일들이 몰려있어서 정말 꽤나 부담이 되는 군요...

2. CFA status
마지막 3차 시험인지라, 조금은 일찍 준비를 시작했더랬습니다. (하지만 아직 시간이 좀 남은 터라 집중해서 보지는 못하고 있네요. 놀기 좋아하는.. 어쩔.. -_- ) 준비 교재는 Schweser note를 보고 있으며, 총 5권의 교재중 3권이 거의 마무리 단계입니다. 하루쯤 더 집중해서 보면 거의 3권이 마무리 될 듯 합니다. 이번에는 날마다 공부하는 과정을 기록해 두고 있는데, 지난해 11월 이후 현재까지 투자한 시간은 72시간입니다.(집중하든, 집중하지 못하든 앉아 있는 시간이고, 대신 자투리 시간은 뺍니다) 대략 계산하니 시간당 10 페이지 정도 보고 있네요. 아무래도 복잡한 설명이 가득한 부분은 조금 더 걸리고, 문제 풀이나 요점 정리 부분은 빠르게 넘어 갑니다. 이번에는 250 시간 정도 기준해서 투자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 시간이 남은 터라 집중이 쉽지 않아서, 읽은 줄Line을 읽고 또 읽으면서 딴생각하는 Reading disorder는 또 어쩔... -_-;

3. Postings & personal life
포스팅, 생각을 정리하기에 상당히 유용한 툴입니다만, 그래서 또 시간이 은근히 많이 소요되는 것 같네요. 정리하고 싶은 내용들은 있는데... 다른 책보는 시간도 좀 줄어들 듯 하고, 기타 일상적인 일도 좀 조정될 듯 합니다. (설날까지만 쬐끔더 놀고!! ㅋ)

올해, 비즈니스도, 개인적인 성취도, 여러가지 면에서 좀 욕심이 나는 한해 입니다. 어쨌든 여름쯤까지는 딴생각 않고 조용히 있을 계획이니 한번 다잡아 봅니다.

Don't be a chicken. Be brave!!!

Apple vs. Google: Closed vs. Open service?

Smart fool thinks; 2010. 1. 22. 04:00

애플 아이폰은 연일 새로운 뉴스거리를 만들어 주고 있고, 이에 질세라 구글의 안드로이드도 무서운 기세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년간 8조원에 이르는 앱스토어 시장을 거의 독점하는 아이폰(앱스토어 시장 급속 확대, 가트너)에 대한 질투심때문인지 시장 점유율이 지난 2009년 아시아 기준으로 아직 2.6%정도 밖에 되지 않는 안드로이드(가트너, Jan 19, 2010)는 벌써부터 많은 단말기 제조사, 통신 서비스 제공자들에게서 애플을 대항할 가장 유력한 대항마로 기대를 받고 있네요.

Source: admob / Smartphone share : 스마트폰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은 Android가 16%입니다.

여기에서 애플의 전략에 대해 한번 생각해 봅니다. 많은 사람들이 말하기를, 애플이 오래전 애플컴퓨터의 실패 경험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고 하면서 지금과 같은 Closed 서비스에서는 애플이 예전과 같은 실패를 다시 겪을 것이라 이야기 합니다. 반면에, 구글의 안드로이드 체제는 그 개방성을 무기로 사람들에게서 가장 촉망받고 있지요. 하지만, 지금 애플의 전략이 예전의 실패의 경험과 같은 양상을 답습하는 것일까요? 글쎄요, 저는 그때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리라 생각합니다.

가장 중요한 차이는 네트워크 효과Network Externality 양상의 차이입니다.

Apple's Advantage
과거 애플 컴퓨터는 Network Externality를 이해하지 못하고 폐쇄적인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다양한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개발 가능성을 열어준 마이크로소프트(Software)와 IBM(Hardware)에 주도권을 내어주었지만 지금의 애플은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의 기반이 되는 AppStore를 완전히 장악하고 있습니다. 즉, 기기(iPhone)와 응용프로그램의 관계는 여전히 폐쇄적이지만(애플 AppStore의 프로그램은 iPhone에서만 돌아갑니다), 응용프로그램이 자유롭게 개발되고 거래되며 판매되도록 공개화 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지요. 특히나 네트워크의 기본 속성은 초기에 시장을 빨리 장악하거나, 점유율이 커질수록 더욱 강력한 파괴력을 지니는데, 애플의 AppStore는 이 두가지 속성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Google's Advantage
한편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주목받는 이유는 개방성을 근간으로 하고 Clouding computing 환경에 적합한 이유 때문일 것입니다. 아직도 스마트폰 OS의 절대 규모는 Apple과 심비안(노키아)가 가지고 있지만, 구글은 세계 최대의 인터넷을 기반 기업이고, 웹기반으로 모든 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기업의 비전이 있지요 (5. You don't need to be at your desk to need an answer : from Google philosophy). 따라서 구글은 어떠한 디바이스Device로도 인터넷 접근성을 높여 Clouding 환경을 만들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구글은 자신의 (단기적) 이익은 줄이더라도 단말기 제조사나 통신사 입장을 최대한 배려함으로써, 많은 사용자들이 인터넷에 쉽게 접근하는 환경을 만들려고 하고 있지요.

Apples's pitfall
다만 문제는 애플이 그 특유의 혁신innovation을 주요 가치Value*로 삼고 있기 때문에, 다른 제조사들의 다양한 제품에 자신의 OS를 사용하도록 공개하지는 않고 있는다는 것인데,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Mobile Handset 시장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iPhone이 쿨Cool한 제품이라는데는 동의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이 가지기에는 사람들의 취향이 너무 다양하잖아요? (1900년대 포드 자동차의 모델T도 아니고, 똑같이 생기고 색깔과 용량만 조금 다른 아이폰을 개성 강한 현대인들이 모두 몰려가 구매할리가??)

* 애플의 사업 전략:
The Company is committed to bringing the best personal computing, mobile communication and portable digital music and video experience to consumers, students, educators, businesses, and government agencies through its innovative hardware, software, peripherals, services, and Internet offerings. The Company’s business strategy leverages its unique ability to design and develop its own operating system, hardware, application software, and services to provide its customers new products and solutions with superior ease-of-use, seamless integration, and innovative industrial design.
                                                 from Business Strategy section, Annual report of Apple


Google's pitfall
구글의 문제? 특별히 없다고 봅니다. 굳이 있다면 단말기의 직접 제조 노하우가 없다는 것인데, 어차피 제조에 비전이 있는 기업이 아니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될 것은 없지요.

Semi-final
일단 지향점에 있어서는 분명히 구글의 승리가 되겠습니다만, 이번의 전쟁은 애플도 만만치 않을 전망입니다.

1. 문서간의 호환성이 중요시되던 PC와는 달리, 모바일 환경에서는 다양한 개인 맞춤형 응용프로그램들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Application의 Externality는 예전만큼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핸드폰으로 워드 작업을 하거나 엑셀 작업을 해서 다른 사람과 공유할 일이 별로 없다는 것이지요. 대신 자기 주변의 맛집을 찾고 주변 지도를 보거나 전자 결제를 하는 등의 개인 맞춤 업무가 크지요)

2.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들은 사실 개발하기에 그다지 어렵지도 않고, 많이들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은 구매하기에 비싸지도 않은 프로그램이 대부분이어서,

3. 결국 시간이 지나면서 애플의 AppStore와 안드로이드의 AppStore의 많은 프로그램들이 서로간의 OS에서도 서로 호환되도록 지원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추측해봅니다. (즉, iPhone 사용자간 인기를 모으고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WhatsApp Messenger이 안드로이드 용으로도 개발되어 서로간 메신저를 할 수 있게 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거죠) 이러한 경우, 애플이 시장의 절대 권력자 또는 주류가 되지는 않겠지만, 여전히 상당한 파워를 지니게 되겠지요.
 
What if...
그러면 애플이 안드로이드와 마찬가지로 OS까지 개방하는 정책으로 선회하면 어떨까요? 이미 절대적으로 많은 양의 응용프로그램이 있는 앱스토어를 이용하기 위해 많은 제조사들이 Apple OS를 장착할 것입니다. 앱스토어는 더욱 번창하는 반면, 혁신적 Device로서 iPhone이 가지는 Advantage는 감소하겠네요. 단기적으로 애플은 앱스토어의 이익 증가는 미미한 반면, iPhone 하드웨어 매출에는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지요(중국에서는 1/10가격으로 iPhone을 만들수 있다는 군요, 한편 2009년 회계년도 기준 iPhone관련 매출은 $6.8 billion, AppStore관련 매출은 $2.4billion이고, 애플의 총 매출은 $36.5 billion 입니다). 어쨌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서비스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혁신을 인정받는 애플로서는 소프트웨어/서비스 모델에 너무 치중하게되는 리스크가 있을 듯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더라도 열광하는 많은 팬들이 여전히 있을 테니, 굳이 OS까지 완전 개방을 할 필요가 있을까요? 

여러분이 스티브잡스라면 어떻게 하실건가요? ^^

Haiti

이웃 블로거들의 글을 보고도, 뉴스에서 아픈 사진들을 보고도, 교회에서 모금 활동을 하는 것을 보고도 "아 아프겠다.. 뭔가 나도 도와야 겠다.."는 생각보다, "여기 기부하면 연말정산 어떻게 받을 수 있는거지??" 하는 생각이 먼저 드는 자신을 보고 정말 화들짝 놀랐습니다. 누군가는 영화에서나 볼 법한 불행에 아파하는데 저는 그렇게 셈하기에만 바빴나 봅니다..


나중에 보니 후원 단체도 몇몇 종류가 있네요. 일단 생각 날때 바로 후원을 하고 싶어서, 그냥 바로 떠오르게된 굿네이버스를 통해 작은 도움을 보탭니다. 회복하길 빕니다.

Timing is everything

Investment 2010. 1. 15. 01:43
투자 전략은 크게 보면 두 가지 형태로 볼 수도 있을 듯 합니다.  

1. Buy & hold
첫째는 Buy & hold 입니다. 즉, 저평가된 주식을 사서 보유하고 있다가, 정상적인 주가 수준이 되면 파는 것이지요. 투자의 두 거장 워렌버핏Warren Buffett과 조지 소로스George Soros를 보면, 크게보아 워렌버핏의 투자 스타일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아, 워렌버핏도 의외로 아래 Arbitrage 기법도 많이 사용했다고도 합니다) 일견, 고평가된 주식을 빌린후 팔아서 이익을 남기는 공매도Short Selling도 이 전략이라 볼 수 도 있겠습니다. Long/Short 중 하나의 포지션을 가진다는 넓은 의미에서.

2. Arbitrage opportunity
두 번째 형태는 차익거래Arbitrage입니다. 기본 아이디어는 동일한 성격의 자산 가격이 두 개가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즉, 일시적으로 가격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결국 가격이 동일하게 수렴할 것이라는 가정이지요. M&A에서 인수자와 피인수 기업 사이의 가격 변동, 세계 여러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 주식의 가격 격차, 기초자산인 주식과 그를 근거로 하는 전환사채Convertible bond의 가격차이 등 많은 기회가 있겠네요. (국내외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하이닉스의 예를 한번 찾아 볼래다가 귀차니즘... ㅠ.ㅠ)

대개의 경우, 차익거래는 위험이 (없거나) 적은 반면에 비교적 짧은 시간에 기회가 없어져버리기에 레버리지가 많이 적용이 됩니다. 즉 헤지펀드들 처럼 자기 자본의 수십배를 빌려서 투자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지요. 조지 소로스의 투자 형태이기도 하고, 최고로 대접받는 르네상스 테크놀로지Renaissance Technologies의 주 모델이기도 합니다. (Long/Short 포지션을 동시에 가진다는 의미에서 Buy & hold와 대치시켜 봅니다)

어쨌든, 이들 전략들은 비정상적인 가격이 정상상태에 이를 것이라는 믿음에 근거를 두고 있지요. 하지만 사실 문제가 되는 것은 이러한 비정상적인 가격이 "언제" 정상상태로 돌아올지 알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 기업의 독특한 원인으로 인해 저평가된 주식이 아주 오랜기간 계속 저평가 상태에 있을 수 도 있고, 밝혀낼 만한 특별한 이유 없이도 긴 시간동안 저평가 될 수도 있지요. 워렌버핏의 철학은, 2년이 지나도 이러한 가격이 정상 상태로 가지 않으면 포기하라고 조언하는 군요(근간에 읽고 있는 책들 중 어딘가에서 보았는데, 찾으려니 지금 못찾겠네요.. ㅠ.ㅠ)

사실 자산 가격을 Pricing 하는 것은 결국 자산(기업)의 미래 수익을 예측하고 그에 따른 주가를 추정하거나, 비슷한 형태의 자산(기업)을 비교하여 상대적 평가를 하는 등의 과학적(?) 접근인 반면, 그러한 (To-be price 와 As-is Price의) 격차가 언제 사라질 것인지는 주식 시장의 수급, 경제의 큰 흐름, 유동성Liquidity, 자산이 위치한 지역/정치/경제적 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된 심리적, 정성적, 또는 일종의 행동 경제학적 접근이 될 듯도 합니다.

유심히 살펴보면 Analyst 들의 리포트에서도 항상 목표 기간을 명시하지는 않으며, 더군다나 이러한 목표 기간을 산정하는 방식이나 근거에 대한 언급은 국내외 어느 리포트를 보아도 잘 없는 듯 하네요. (본질 가치와 주가가 시간을 두고 어떻게 변하고 근접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본 듯 합니다)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고, 차익거래 기회를 찾는 것도 가능한 일들입니다. 하지만, 가격이 언제 변화될지, 가격이 결국 변하기는 할 것인지를 확신하기는 사실 정말 쉽지 않아보입니다. 투자라는 것이 기회비용도 생각해야 하는 것이기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은 곧 수익률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니까요. 특히 국내에서 애널리스트 리포트를 일반인들이 많이들 불신 하는 이유도, 개인이 생각하는 시간Time-frame이 애널리스트가 보는 시간과 다르기 때문도 있을 듯 합니다. 

Timing is everything...  in business, in relationships, in love, in life... 지금은 무슨 타이밍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