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IPS: Investment Policy Statement
Investment
2010. 1. 9. 03:30
1. IPS
지난번 투자에 대한 글쓰기를 적고 보니, 좀 구체적인 이야기가 빠졌군요. 그럼 제가 투자하는 목표는 어느정도인지, 제 IPS(Investment Policy Statement)를 간략히 적어봅니다
Return : 년간 25% target (최고 수익률 대회 이런 것 많이하던데, 저는 그것도 좀 바람직하지 않다고 봅니다. 한번 배팅 잘해서 대박나면 수익이 대박인 반면, 리스크는 그다지 고려하지 않는, 대박을 쫓는 대회인 듯한 느낌이 많이 들어서 입니다)
Risk : 아직 젊다고 생각하고 있고(즉,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회복할 기회가 많으며), 직장에서의 수입이 있기 때문에 다소 리스크를 안아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평균 이상의 Risk-taking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35% 표준편차로 일단 고려해 봅니다*
Time-line : 제 Life-cycle에 따라 비정기적 큰 지출들이 발생할 예정이지만, 전체적인 Time-frame은 약 30년 이상 생각할 수 있을 듯 합니다.
Liquidity : 단기간에는 매우 유동적이며, 지출의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Tax : 일반적인 세금 적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몇 개월에 몇 배를 벌었다, 1년 수익률이 수백배더라.. 이야기들도 종종 들립니다. (네네.. 부럽습니다.. ㅠ.ㅠ) 하지만, 오랜 기간 그러한 수익률을 올리기는 쉽지 않지요. 그래서 주식에서는 적절한 수익률을 올리면서 오랜 기간 투자하고, 장기적 시각을 가지려고 합니다.
지난번 투자에 대한 글쓰기를 적고 보니, 좀 구체적인 이야기가 빠졌군요. 그럼 제가 투자하는 목표는 어느정도인지, 제 IPS(Investment Policy Statement)를 간략히 적어봅니다
Return : 년간 25% target (최고 수익률 대회 이런 것 많이하던데, 저는 그것도 좀 바람직하지 않다고 봅니다. 한번 배팅 잘해서 대박나면 수익이 대박인 반면, 리스크는 그다지 고려하지 않는, 대박을 쫓는 대회인 듯한 느낌이 많이 들어서 입니다)
Risk : 아직 젊다고 생각하고 있고(즉,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회복할 기회가 많으며), 직장에서의 수입이 있기 때문에 다소 리스크를 안아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평균 이상의 Risk-taking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35% 표준편차로 일단 고려해 봅니다*
Time-line : 제 Life-cycle에 따라 비정기적 큰 지출들이 발생할 예정이지만, 전체적인 Time-frame은 약 30년 이상 생각할 수 있을 듯 합니다.
Liquidity : 단기간에는 매우 유동적이며, 지출의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Tax : 일반적인 세금 적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몇 개월에 몇 배를 벌었다, 1년 수익률이 수백배더라.. 이야기들도 종종 들립니다. (네네.. 부럽습니다.. ㅠ.ㅠ) 하지만, 오랜 기간 그러한 수익률을 올리기는 쉽지 않지요. 그래서 주식에서는 적절한 수익률을 올리면서 오랜 기간 투자하고, 장기적 시각을 가지려고 합니다.
* 참고로, S&P500 (1950-2009) 과 KOSPI(1997-2009)의 년간 수익률 기대값과 표준편차는 아래와 같네요. 제 Target 수익률과 표준편차는 각각 25%, 35% 로 잡아봅니다.
KOSPI는 사실 편차가 좀 큰데다가 표본의 수가 크지 않아서 제외하고, S&P500을 기준으로 하면 다음과 같은 수익률 곡선이 나옵니다.
S&P 500은 년간 수익률이 [-9%~25%] 사이에 있을 확률이 약 68% (1-sigma) 인데 반해, 제 포트폴리오는 같은 확률로 [-10%~60%] 범위에 있게되는군요. 실제로 포트폴리오를 타겟에 맞게 구성할 때의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참고로 한번 그려봅니다~
KOSPI는 사실 편차가 좀 큰데다가 표본의 수가 크지 않아서 제외하고, S&P500을 기준으로 하면 다음과 같은 수익률 곡선이 나옵니다.
S&P 500은 년간 수익률이 [-9%~25%] 사이에 있을 확률이 약 68% (1-sigma) 인데 반해, 제 포트폴리오는 같은 확률로 [-10%~60%] 범위에 있게되는군요. 실제로 포트폴리오를 타겟에 맞게 구성할 때의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참고로 한번 그려봅니다~
2. 금리와 출구 전략
근간에 출구 전략 이야기와 이에 따른 금리 인상이 주요 이슈중 하나인데, 종종 들르게된 "이순상의 블로그"에서 공감가는 글을 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상 자체는 주식 시장에 악재임이 틀림 없지만, 요즈음처럼 경기 확장을 위해 금리를 떨어뜨려둔 상황에서는 금리 인상이 오히려 경기 상승에 대한 확신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서 그다지 나쁜 신호로만 받아들이기 어려울 듯 합니다. 이순상님의 표현 처럼 백신을 여러번 맞아서 이미 인상에 대한 기대 심리가 많이 반영되어 있을 것으로도 보여지구요.
3. Portfolio
어제 반도체 지수가 좀 떨어지길래 6% 정도 추가로 삽니다. 이제 Cash는 거의 없네요. 미국/원자재/동유럽 관련이 연초 며칠 괜찮은 흐름을 보여서 포트폴리오에서 48% 정도를 구성하고 있고, 동부제철/BNG스틸 등 철강이 19%, 반도체가 15%, 기타 미래에셋과 ELS(현대차/SK에너지)가18% 정도 되는군요. 현재로서는 가용 가능한 범위를 최대한 사용하고 있는데, 큰 포트폴리오를 좀 재구성해서 Equity(주식)에 더 투자할 계획입니다. (길거리에 나앉고 노숙자 될 위험도.. ㄷㄷㄷ)
자산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꾸려가시나요? 너무 지나친 타겟 수익률(에는 당연히, 일반적으로, 높은 리스크가 수반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을 쫓고 있지는 않는지 스스로의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해서도 가끔은 생각해볼 필요도 있을 듯 합니다~ 미국에는 그런 재무설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도 많이 있는 모양이던데, 국내에서는 그런 이야기를 잘 들어보지 못한듯 하군요.. 꽤나 도움이 될 듯 한데 말이지요..
근간에 출구 전략 이야기와 이에 따른 금리 인상이 주요 이슈중 하나인데, 종종 들르게된 "이순상의 블로그"에서 공감가는 글을 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상 자체는 주식 시장에 악재임이 틀림 없지만, 요즈음처럼 경기 확장을 위해 금리를 떨어뜨려둔 상황에서는 금리 인상이 오히려 경기 상승에 대한 확신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서 그다지 나쁜 신호로만 받아들이기 어려울 듯 합니다. 이순상님의 표현 처럼 백신을 여러번 맞아서 이미 인상에 대한 기대 심리가 많이 반영되어 있을 것으로도 보여지구요.
3. Portfolio
어제 반도체 지수가 좀 떨어지길래 6% 정도 추가로 삽니다. 이제 Cash는 거의 없네요. 미국/원자재/동유럽 관련이 연초 며칠 괜찮은 흐름을 보여서 포트폴리오에서 48% 정도를 구성하고 있고, 동부제철/BNG스틸 등 철강이 19%, 반도체가 15%, 기타 미래에셋과 ELS(현대차/SK에너지)가18% 정도 되는군요. 현재로서는 가용 가능한 범위를 최대한 사용하고 있는데, 큰 포트폴리오를 좀 재구성해서 Equity(주식)에 더 투자할 계획입니다. (길거리에 나앉고 노숙자 될 위험도.. ㄷㄷㄷ)
자산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꾸려가시나요? 너무 지나친 타겟 수익률(에는 당연히, 일반적으로, 높은 리스크가 수반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을 쫓고 있지는 않는지 스스로의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해서도 가끔은 생각해볼 필요도 있을 듯 합니다~ 미국에는 그런 재무설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도 많이 있는 모양이던데, 국내에서는 그런 이야기를 잘 들어보지 못한듯 하군요.. 꽤나 도움이 될 듯 한데 말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