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rtfolio rebalancing 2011

Investment 2011. 2. 4. 19:58
2011년 맞이 포트폴리오 조정에 나섭니다. 국내 주식 비중은 약간 낮추는 대신 가치주보다 블루칩으로 중심을 이동합니다. 지난 해 실적에서도 보듯, 개인적으로 가치주 선별에 그다지 뛰어난 편은 아닌듯해서;;; 대형주 중심으로 투자합니다. 이는 미국 시장과 국내 시장의 차이에 원인이 있기도 한데, 미국 시장은 소형주가 장기적으로 대형주 보다 (리스크는 크지만) 좋은 성적을 올리는데 반해, 국내 시장은 소형주가 대형주보다 장기적으로 성과가 좋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네요. 오히려 반대인 듯 해요. 

상품자산commodity 관련도 약간의 변화를 줍니다. 과거 2년간 성과가 좋았던 광물소재 관련은 약간만 조정하고, 추가적으로 농산물 펀드에 관심을 가집니다. 농산물 펀드는 지난해 성적이 좋았던 몇몇 펀드들이 올해 초에 뉴스상에 많이 오르내리는군요(곡물가 뜀박질, 농산물 펀드 수익 쑥쑥).

이렇게 농산물 관련 여러 펀드들이 있지만, 지난 1월에 상장한 상장지수 펀드인 TIGER농산물선물(H)에 관심을 가져 봅니다. 원래 상장시에는 환 위험에 노출되어있었는데, 1월 말일자로 환 헤지 전략을 쓰는 것으로 전환했다고 하는군요. 아무래도 올해 원화는 달러대비 다소간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기에 환 헤지 없이는 다소 부족했었는데, 적절한 시점에 눈에 들어오는 펀드입니다. ETF 이기 때문에 일반 펀드(수익 증권) 대비 수수료나 환매의 장점도 갖추고 있지요. 다만 소재 관련 펀드는 올해 다소 조정을 받으면서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적을 보이고 있어서 타이밍은 조율할 생각입니다. 

한편, 기존 중국 관련 펀드는 일단 단기적으로는 비중을 줄입니다. 중국의 성장세도 여전하고, 중국 정부도 물가 관리에 계속 관심을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주식 시장에서의 성장은 기대가 되지만, 중국내 대형 기업들의 상장 이슈도 있고 단기적으로는 횡보의 가능성도 커서, 한동안 관심만 가지고 주시하는 것이 좋을 듯 생각이 들어요. 

(CEFRI, "유동성 랠리, 즐길만 한가" 에서 재인용)

미국 시장은 작년 대형주(DJI 9% 또는 S&P500 11%) 보다 소형주(Nasdaq 15%)가 훨씬 좋은 실적을 보여주었습니다. 국내와는 반대의 경우이지요. 근간에는 기술주 분위기도 곳곳에서 긍정적인 기운이 있어서, 나스닥에 투자하는 펀드나 미국 기술주 섹터 펀드 중에 괜찮은 펀드가 있으면 일부를 투자했으면 좋겠습니다만, 적절한 펀드를 찾을 수가 없네요. 미래에셋맵스에서 출시한 TIGER나스닥100 이라는 ETF가 눈에 들어오는데, 환율 헤지가 되지 않은 상품이라 안타깝네요. 



* 투자에 관한 게시글은 제 투자 성향에 대한 개인적인 사견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참고 하실 분은 참고만 하시고, 모든 투자 의사결정은 본인의 상황과 성향에 따라 본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해요~ 

2010 Investment Review

Investment 2011. 1. 9. 22:37

2010년이 마무리된 지도 시간이 꽤 흐르고 있는데, 이제야 한해 투자 마무리를 해 봅니다. 
재무 관련 일을 많이 하기는 하지만, 전업 투자자도 아니고 주식 시장에 늘 가까이 있는 것도 아닌데다, 해외 투자의 장점을 취하기도 쉬워서 펀드를 많이 이용하고 있지요. 국내 주식의 경우도 비슷한 이유로 ETF에 관심이 많은 편이구요. 

지난해도 그 전부터 가지고 있던 펀드 구성에서 크게 변하지는 않았고, 다만 고민거리이던 동유럽 관련 투자는 정리를 하고 중국으로 눈을 돌렸더랬습니다. 


투자 포트폴리오(왼쪽)와 전체 수익 대비 각 투자별 수익(오른쪽)입니다. 중간 중간 약간의 포트폴리오 조정이 있었기때문에 투자 기간별로 가중평균한 데이터예요. 원자재 투자가 상당히 좋았고, 국내 주식 투자는 기대만큼의 성과는 없네요;; 개인적으로 몇 가지 시사점을 정리해 보면, 
  1. 사실상 수익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전세계적/섹터별로 어떤 곳을 선택하는지가 가장 중요하고, 세부적으로 적합한 펀드를 찾는다거나 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아요. 
  2. 시장 Turnaround 초기에 역시나 원자재 주식의 선전은 눈에 띄는군요
  3. 동유럽 대신 중국을 선택했는데, 50보100보였어요
  4. 국내 주식 시장이 연초 예상과 유사하게 좋은 흐름을 보였음에도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만족스러운 결과는 얻지 못했네요. 개별 주식의 Timing은 기술적 분석과 연관이 많은데, 이에 대해서는 깊이 공부하지 않아서 좋은 성적을 얻지는 못한듯 합니다. 변동성이 커서 국내주식을 좀 피했던 경향이 있는데, 계속 어느 정도 비중을 두려면 타이밍에 대한 공부를 더 해야할 듯 하네요. 
지난 늦봄/초여름 경에 투자 규모를 늘리면서 추가 투자가 있어서 년간 수익률로는 그다지 만족스러울 만큼의 결과를 얻지는 못했지만 부족한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 더 생각해 볼수 있는 한해였네요. 올해 주식 시장도 작년과 유사하게 좋은 성장을 보여주리라 예상하는데, 기술적 분석에 대해서도 좀더 공부해 볼 예정예요. 

시간이 허락하는대로 올해 투자 부분도 좀 정리해야겠네요. 블로그는 일단 지난해 내용은 원상복구 합니다. 올해는 다시 글도 많이 쓰고, 생각도 많이 정리하고프네요..

Why writing on the investment

Investment 2009. 12. 21. 01:52
예전에 블로그를 쓰는 이유에 대해서는 정리한 적이 있어요 (하지만 지금은 그때와는 성격이 조금 바뀌긴했지요. 말투는 완전히 바뀌었군요. -_-) 사실 아직 블로그 색깔이 명확하지는 않아요. 예전엔 소소한 느낌이나 일상에 대한 글을 많이 정리했던 반면, 요즈음은 여행이나 일상들, 또 한편으로 특히 투자에 대한 글이 많아졌네요. 그래서, 특히 어떻게보면 개인적인, 투자에 대한 글을 왜 쓰는지 정리해둡니다.

1. Define the objective
처음의 투자 목적과 수익률 및 리스크를 유지하고 기억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냥 혼자만의 원칙으로만 남겨두면 아무래도 스스로에게 편하게 해석해 버리고 주관적인 합리화를 하게 되는 경향이 많지요. 그래서 처음 세웠던 목적을 다음에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물론 처음 원칙을 전혀 수정없이 가져갈 생각은 아니지만, 왜 그러한 목적을 세우고 왜 그렇게 분석을 했는지 history를 남겨두기 위함입니다.

2. Communicate with others and broaden the investment horizon
지난번 동부제철 분석의 경우에서처럼, 혼자만의 분석은 실수나 오류를 낳을 위험이 상당히 높아요. 특히나 저같이 덜렁대고 실수하는 사람에게는 더욱 그렇지요. 그래서 비슷한 분야에 관심있는 분들이나, 다른 분야에 있지만 Insight를 나눌 수 있는 분들과 한두마디 주고 받는 것도 서로에게 상당한 도움이 되리라 생각해요. 이렇게 다른 분들과 교류하는 목적은 크게 두가지 의미로 나누어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2.1. Appreciation of the information I find
먼저, 제가 알게된 정보, 도움을 받은 정보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제가 느끼는/분석하게 된 배경background과 틀frame을 피드백 드리는 것입니다.

2.2. Double-check any possible missing or error
두번째는 제 분석이나 시각에 실수/결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기 눈의 들보는 잘 못보는 법이라지요.
3. Cumulate a long-term investment record; don't manipulate the return
투자에 대해 글을 쓰는 마지막 이유는,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제 성적을 왜곡되지 않게 남겨두기 위함입니다. 투자에 대해 공부하면서, 나중에 Business area에서 은퇴하게되면 전업으로 투자를 하는 것도 매력있는 일이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큰 돈을 굴리지는 않더라도, 수십년 투자 습관이 정리되고 쌓인다면 시장보다 좋은 성적을 오랫동안 내는 것(Beating the market!!)도 가능해지겠지요. 좋은 회사에 투자한다는 의미에서 기업 성장에 일부를 기여한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과거의 경험으로 보면, 개인적으로만 남겨둔 투자 경험은 기억이 무뎌질수록 좋게만 미화되고, 숫자는 두리뭉실해져서 장미빛 과거로만 남게되더군요. (사랑도 그렇던가요? 뜬금없지만. ㅎ) 그래서 과거 수익률 및 생각의 큰 흐름들을 기록해두고 선언declare해 두기 위해서입니다.


여전히 오를지, 내릴지 고민되고, 시장을 떠나면 편할 것 같은 마음도 가끔 들지만, 투자는 재미있는 일임에 틀림이 없네요. 정보의 한계도 있고, Know-where의 한계도 있지만 유동성의 제약을 상대적으로 덜받고 조금더 폭넓게 생각하고 즐기는 자세로 한다면, 시간이 흐른뒤에 돌아보았을때 그래도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시장에서 빠져나와 있는 것이 좋을 때도, 후회하고 아파할 때도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볼때, 그만한 가치는 있는 듯 합니다. (사랑도 그렇던가요? ㅎㅎ)

[책] 3개의 질문으로 주식시장을 이기다

Book 2009. 9. 21. 23:3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저런 일들 때문에, 너무나 오랫동안 들고 있던 책인데, 이제야 일독을 마치게 되었습니다. 중반쯤까지도 책의 전체적인 구조가 머리속에 잘 자리잡히지 않아서 단편적으로 읽혔지만, 후반부로 넘어가면서 세가지 질문의 의미를 자꾸 되새기면서 Fisher 아저씨가 말하고자 하는 전체적인 그림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지요.


세가지 질문은 아주 명료해요.
1. 많은 이들이 믿고(말하고) 있는 것이 사실인가?
2. 남들이 모르는 나만의 추정 가설은 없는가?
3. 내 머리(두뇌/분석)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받아들이라.


제 방식대로 이해한 것을 정리해 보면 위와 같아요.

1. 잘못된 가설에의 집착: 첫 번째 질문은 기존의 속설이 의심할 만한 가치가 있지 않은지에 대한 것이지요. 즉, P/E 가 높은 시장이 어떠하다든가, 재정적자가 위험하다든가, 환율과 주가의 관계가 어떠하다든가.. 물론 일리가 없지 않을 수 도 있으나, 이러한 가설들은 충분히 Challange를 해 볼 가치가 있다는 주장이예요. (개인적으로 재정적자와 환율, 대형주에 대한 기존의 환상(인식)은 완전히 깨버렸다고 생각합니다~)

2. 새로운 가설: 첫번째 질문이 모두가 옳다고 믿는 것에 대한 Challange라면, 두번째 질문은 한걸음 더 나아가 진정한 Advantage(요새는 Edge라고 하던가요? ㅎㅎ)를 만들기 위한 Challenge입니다. 즉, 남들이 모르고 나만이 아는 것을 찾는 것이지요. 저자는 P/E에 대한 새로운 인식(inverse P/E; Earnings/Price)이나, 수십년전 PSR을 개발했을 당시를 예로 들었는데, 이러한 발견 및 새로운 개념의 도입(인식)은 실상 많은 데이터 분석과 Challange를 필요로 해요.

3. 도마뱀의 뇌: 세번째 질문은 사실 심리 및 뇌 구조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지요. 이 부분은 책 비열한 시장과 도마뱀의 뇌와 일맥 상통하는데, 시장이 어떻게 심리를 안달하게 만들어 개인들을 두들겨 패버리는지(Beat)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와 같은 세가지 질문 이후에는 이들 질문들의 관점에서 구뇌, M&A, 수요/공급, 환율, 주식 선택 등에 대한 이야기를 풀고 있어요.

주식 시장에 대해 여러 책들을 보았지만, 이 세가지 질문만큼 방법론적으로 유용하면서도 폭넓은 데이터에 근거해서 많은 자료를 제시한 책도 없었던 것 같아요. 덕분에 Ken Fisher에 대해서도 다시 보게되었고, 그의 Forbes 칼럼에서 최근 몇가지 그의 관점과 시각도 다시 찾아 보았답니다.

올해 초에 중국 주식과 미국 주식에 대해 글을 적고자 생각만 하고 있었지만 바쁜 이런 저런 핑계로 글을 쓰지는 못했는데, 이 책을 읽고는 투자 분석을 정리해서 기록으로 남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1월말부터 중국 본토 주식에 투자하고 여름에 접어들면서 미국 본토 및 (미국 중심의) 자원관련 주식으로 옮겼다가 근간에는 일부 국내 주식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면서 동유럽 주식 시장을 살펴보고 있는데, 투자 일지를 남기고 Rebalancing 해 가는 과정을 남겨두는 것도 향후에 되돌아 보았을때 자만에 빠지지 않고 투자 스타일을 정립해 가는 길이 될 듯 해요.

500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양으로 인해 처음 읽기는 쉽지 않지만, "도마뱀의 뇌"와 함께 조만간 다시 한번 읽어보는 것이 이미 시작된 회복장(이라고 생각한다..)을 대처할 방법이 될 듯하다는...

Mean Market and Lizard Brain (비열한 시장과 도마뱀의 뇌)

Book 2009. 1. 28. 18:11

사용자 삽입 이미지
특이한 책 제목이 여러 번 시선을 끌었음에도 왠지 모를 가벼움에 손이 가지 않다가 몇몇 블로그 및 서평에서 찬사의 글들을 보고서야 책을 잡게 되었다. 회사에서 아마존을 통해 구매하게 되어 원서로 보게 되었는데, 다행히(-_-;) 어려운 용어나 Slang이 없어서 그나마 편하게 읽은. 책의 내용은, 투자를 전업으로 하지는 않지만 1원이라도 수익을 내고자 하는 모든 개인 투자자들(ㅠ.ㅠ 거의 모든 개인이라고 보면..)이라면 꼭!!! 읽어 보아야 할 책. 강추!

경제 주체로서의 개인과, 시장에 대한 기본적인, 그리고 전통적인 가설은 개인의 경제적 결정은 합리적이고, 이러한 합리적 개인의 결정의 집합체인 시장은 이성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이러한 가설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책의 주요 주장과 개인적으로 와 닿는 주요한 내용들을 보면,

  1)
개인의 경제적 결정은 종종(자주) 비이성적이다. (본 책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다)

  2) 인간은 과거의 패턴이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잘못된 믿음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 "Do you drive your car by looking in the rearview mirror?"
- "Our brains are built to replicate successful behaviors, but the financial markets punish such behavior"


  3)
인간은 자기 자신의 (경제적 분석) 능력에 대해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4)
인간의 뇌를 Prefrontal cortex와 Lizard brain 으로 나눌 때, 전자는 완벽과는 거리가 멀고 후자는 우리 "행동"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5)
"To make money, we must make the unpopular moves and attempt to constrain the lizard brain"

  6)
생산성(특히 혁신에 의한)이 Long-term 경제 성장에 있어서 Key 이다.

  7)
30년 정도 길게 보았을 때 주식시장이 가장 성공적인 투자였다는 믿음은 미국에서만, 그리고 지금까지의 과거에 적용되며, 다른 국가들 및 미래에 대해서는 아직 in question

  8) 3 Pillars of U.S. economy: i) Government deficit spending, ii) Easy money policy of Fed. and iii) Profligate spending of U.S. consumers

  9)
4 keys profiting from mean markets:
      i) Be different
      ii) Make the investment moves that do not product dopamine
      iii) Make an emotionally realistic financial plan
      iv) Be tough enough to stick to a plan

2) 또는 4)의 내용과 관련해서, 유명한 심리학자인 B.F. Skinner의 실험 이야기(주술 비둘기)가 나오는데,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개와 다른 재미있는 사례를 들고 있다. 즉, 비둘기에게 조건에 대한 강화(Enforcement)없이, 비둘기가 어떠한 행동을 하던 상관없이 특정 주기(Interval)로 음식을 주었을 때, 비둘기는 그러한 음식이 나올 때 했던 자신의 행동을 기억하고는 다음에 음식을 먹기 위해 계속해서 그러한 주술적 행동을 했다는 것이다. (나를 포함한) 인간들도 이러한 행동을 똑같이 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너무나 웃긴 일이다. 비록 오른쪽 날개를 퍼덕이고 왼발을 껑충거리는 식의 주술은 아니겠지만, 인간도 과거 자신의 성공 경험을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Financial market에서 같은 식의 성공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책의 내용을 근간으로 하여 개인적으로 가지는 전반적인 생각은 (책의 주장과는 다소 다를 수 있다).

개인의 경제적 결정은 종종(그리고 자주) 비이성적이고, 이에 따라 시장은 비이성적인 Sentiment(Fad)에 크게 좌우되지만, 최소 1-3년 정도 이상 길게 볼 때에야 시장은 이성적 궤도(trajectory)를 따라간다


는 것이다. 전에도 개인적인 투자 성격상 기술적 분석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지만 역시나 기술적 분석이나 Short-term 투자보다는 장기투자를 염두에 둔 가치투자에 더욱 매력을 가지게 하는 부분이다.

한편, 그 동안 가지고 있던 의문 중 하나는, 주식 시장의 변동에 대해 증권사 전략가나 애널리스트 또는 신문기자들 까지도 "이러이러한 이유 때문에 어제 증권시장이 어떻게 반응했다"는 식의 기사를 쓰는 것이 내가 보기에 그러한 근거가 그다지 신빙성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물론 금리 인하나 GDP 성장률의 변화, 고용 지표의 변화 등 주식 시장이나 실물 경기를 반영하는 지표가 눈에 띄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인과관계가 성립하겠지만, 이를테면 극명한 예로 지난해 10월의 극한적인 변동성 장세나 1987년의 Black Monday 같은 날은, 그렇게 설명할 만한 근거가 잘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도, 비이성적 행동을 고려해 본다면, 그동안 축적된 의심이나 우려가 어느 순간 촉발(Trigger)되고 시장의 Fad에 의해 변동성이 극한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한 듯 하다. (물론 정확한 이유를 찾기 어렵다고 시장의 Sentiment로 몰아가기는 너무 두리뭉실하지 않은가? 라는 의문도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상황에 정확한 인과관계를 찾고자 하는 것은 오히려 잘못된 인과관계의 오류를 범하는 것처럼 보인다)

 책을 읽은 타이밍이 절묘하게도 전 세계적인 주식 시장 붕괴 시점이어서(물론 아직 붕괴가 덜 되었을 위험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미국과 중국 주식에 대해 다시금 매력적으로 느끼게 된 결정적인 실마리를 찾았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해외 주식과 투자에 대해 조금더 적을 예정이다.

 고대부터 현재의 고도 금융 시장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의 (그러나 최근의) 급격한 환경의 변화와, 이에 대한 뇌의 반응을 설득력 있게 정리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한 주요한 투자 자산 - 주식, 채권, 부동산 및 실물 자산 - 에 대한 통찰을 멋지게 보여준 책.